여호와의 군대 대장(수5:13-15)
여호와의 군대 대장(수5:13-15)
주 바나바
한 이스라엘 가정의 저녁식사시간입니다. 군대 갔다 온 아들이 식탁에 앉더니 기도를 드립니다. 그가 기도를 마치자 아버지가 아들에게 묻습니다. “얘야! 너 전에는 기도하지 않았었는데 어떻게 된 것이냐?” 아들이 대답합니다. “네, 전에는 제가 하나님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믿습니다.”라고 답하면서 네게브 지역에서 있었던 전쟁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네게브에서 이집트와 전쟁하다가 한 20명만 남게 되었습니다. 그때 적군 3개 대대 병력이 쳐들어왔습니다. 우리들은 싸워서 이길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그것은 전혀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최후의 한 사람까지 싸우다 죽기로 다짐했습니다. 그래서 사력을 다하여 싸우자 2개 대대 병력이 뒤로 물러갔습니다. 그리고 1개 대대병력은 두 손을 들고 항복을 하였습니다.
나중에 이집트 병사들은 이스라엘 병사가 20명밖에 없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들에게 “다른 군인들은 어디에 있습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이스라엘 병사는 대답했습니다. “다른 사람이라니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 그러자 이집트 병사가 재차 물었습니다.
“우리는 당신들과 함께 있던 많은 군인들을 똑똑히 보았습니다. 그들은 어디에 있습니까?” 그러나 그곳에는 다른 사람들은 전혀 없었습니다. 바로 이 전장마당에서 이스라엘 병사는 그때 하나님께서 함께 하셔서 저들을 지켜주셨다는 것을 확신하고 하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인생살이에서 기적 같은 일을 경험하고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믿고 확신할 때가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길갈’이라는 지역에 진을 쳤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가나안 정복전쟁을 시작하기 전 이곳에서 세 가지 일을 명하셨습니다. 기념비를 세우게 하시고, 모든 남자들이 할례를 받도록 하셨고 그리고 유월절절기를 지키게 하셨습니다. 이것은 모두 다 하나님을 기억케 만드는 일입니다.
요단강을 마른 땅으로 건넌 것에 한껏 들떠 있을 백성들에게 기적에 도취하지 말고 그 기적을 행하신 하나님께 초점을 맞추라는 뜻이 담겨져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신앙 관계를 바르게 함이 최고의 전쟁 준비이기 때문입니다.
유월절이란 하나님이 애굽에서 이스라엘을 구원한 것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나온 것도 구원이지만 광야에서 40년간 살아남아 가나안에 입성한 것도 구원이기 때문에 유월절을 지킬 의미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유월절은 유대력으로 정월 14일인데 지금 이스라엘이 요단강을 막 건너고 숨 돌리고 나니 정월 14일이었습니다. 어쩌면 이때가 출애굽 타임과 동일한지 놀랍습니다.
바로 이 때 길갈 지역에서 의미 있는 일 하나가 발생합니다. 유월절을 지키고 나서 그 다음날 그 땅의 소산물을 먹게 되었고, 그 다음날에는 하늘에서 내리던 만나가 그쳤습니다. 지난 40년간 광야에서 내리던 만나가 더 이상 내리지 않는다는 것은 이스라엘이 이제 다시 광야로 돌아 갈일이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또한 이스라엘이 농사지을 수 있는 땅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그들이 스스로 농사를 지어 먹어야지 광야 때처럼 기적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방법은 바뀌었지만 하나님은 변함없이 자기 백성에게 필요를 공급해주시는 분으로서 만나가 필요할 땐 만나를, 곡식이 필요할 땐 곡식을 공급하십니다.
그런데 오늘 본문에 보면 이스라엘이 전쟁을 치르기 전에 꼭 인식해야할 점을 위해 사건 하나가 발생합니다. 그것은 이스라엘 군대의 대장인 여호수아와 하나님의 군대의 대장 사이의 만남의 장면입니다.
본문 13절 상반절에 보면 “여호수아가 여리고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에 눈을 들어 본즉 한 사람이 칼을 빼어 손에 들고 마주 서 있는지라”했습니다. 필경 여호수아는 어떻게 하면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그 크고 견고한 성 여리고를 통해 성공적으로 가나안으로 들어갈 수 있을지를 깊이 생각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여리고 가까이 가서 그곳 동정도 살피며 마지막 작전을 구상하고 있었을지 모릅니다. 여호수아 6:1에 보면 “이스라엘 자손들로 말미암아 여리고는 굳게 닫혔고 출입하는 자가 없더라”한 것처럼 적막 속의 전운이 감도는 가운데 “이 난공불락의 성을 어떻게 열 수 있을까?” 하며 여호수아는 골똘히 대책을 숙고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여호수아 앞에 어떤 정체불명의 인물이 손에 칼을 빼어 들고 불쑥 나타났습니다. 여호수아는 칼을 들고 자기 앞에 마주 선 그에게 단도직입적으로 물었습니다. “너는 우리를 위하느냐 우리의 적들을 위하느냐?”그런데 그 정체불명의 인물은 여호수아의 물음에 직접적으로 대답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대답은 “아니라”말합니다. “너는 우리를 위하느냐 우리의 적들을 위하느냐?”는 물음에 “너희를 위한다”든가 “너희 적들을 위한다”든가 답하지 않고 “아니라” 한 대답은 동문서답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대답은 여호수아의 물음 자체가 잘못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일의 선후가 잘못된 것이라는 말입니다. 그렇게 질문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그런 물음에는 대답할 수가 없다는 말입니다. 생각을 근본적으로 달리 해야 할 것을 가르칩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군대 대장의 대답은 사실은 여호수아를 위한 보다 더 본질적인 답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대답은 여호수아가 그에게 던진 물음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그전에 여호수아가 골똘히 생각하며 스스로에게 던지던 물음, 즉 “어떻게 하면 이 강하고 견고한 적진을 돌파할 수 있을까?”하는 물음에 대한 대답입니다.
“아니라”는 대답은 “무조건 너희 편도 아니고 또 무조건 너희 적들의 편도 아니라”는 뜻입니다. 달리 말하면 “내가 너희 편이 되느냐 너희 적들의 편이 되느냐 하는 것은 너희가 하기에 달린 것이라”는 대답입니다. 이 대답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다음에 한 말과 함께 생각해야 합니다.
그가 뭐라고 말했습니까? “아니라. 나는 여호와의 군대 대장으로 지금 왔느니라.” 다시 말하면 “나는 하나님의 군대 대장으로 왔다. 즉 나의 사령관은 하나님이시다. 따라서 나는 하나님을 위하여 싸울 뿐이다. 그러므로 너희가 하나님 편에 서면 내가 너희를 위하여 싸울 것이고, 너희가 하나님 편에 서지 않으면 내가 너희 적들을 위하여 싸울 것이라” 하는 대답입니다.
그 정체불명의 인물이 자신을 하나님의 군대 대장이라고 밝히자 여호수아는 즉시 땅에 엎드려 절하며 그에게 물었습니다. “내 주여 종에게 무슨 말씀을 하려 하시나이까?”우리는 여호수아의 이 태도와 말 속에서 드러나는 몇 가지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는 여호수아가 그를 “주”라고 높여 부르고 자기는 “종”이라고 낮추어 말했습니다. 이것은 여호수아가 그를 자기의 상급지휘관으로 인정하고 자기는 그의 명령을 따라야 할 것임을 밝힌 고백입니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하나님의 군대 대장보다는 그의 사령관이신 하나님의 명령에 절대복종하겠다는 태도입니다.
둘째는 “무슨 말씀을 하려 하시나이까?”하며 여호수아가 하나님의 뜻과 명령을 물었습니다. 자기의 계략과 작전을 따라 행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뜻을 따르며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행동할 것이니 그저 하명하시라는 말입니다.
이것은 또 하나님의 군대가 이스라엘을 위하여 싸우게 하기 위해 여호수아 자신과 이스라엘 백성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요구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여호수아의 그 물음에 대해 하나님의 군대 대장이 대답했습니다.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 네가 선 곳은 거룩하니라.”(15절). 이 대답 또한 의외의 대답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이 대답이야말로 여호수아와 이스라엘이 해야 할 일들의 우선순위를 바로 가르쳐주는 말입니다. 크고 견고한 여리고성을 공략하기 위한 전술과 군사적 준비가 무엇인가를 논하기 이전에 먼저 해야 할 것은 거룩한 땅에서 신발부터 벗는 것이 우선이라는 말입니다.
즉 하나님을 경외하는 백성답게 하나님의 임재 앞에서 거룩함을 지키는 것이 그 무엇보다 선행해야 하고 또 가장 중요한 일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의 백성다움 즉 거룩함을 지키기만 하면 싸움은 하나님의 군대가 다 싸워줄 것이며 승리는 이미 보장된 것임을 강하게 시사하는 말입니다.
“나는 여호와의 군대 대장으로 지금 왔느니라” 한 말이 뜻하는 바가 무엇입니까? 여호수아 앞에 지금 하나님께서 와 계시다는 말입니다. 하나님의 군대 대장이 왔다고 했지만 그것은 곧 하나님 자신의 임재를 뜻합니다. 그래서 발에서 신을 벗으라고 명합니다. 여호수아는 지금 하나님 임재 앞에 있습니다.
여호수아가 서있던 그 땅 자체가 본래부터 거룩한 땅이어서가 아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 때 거기에 임재하여 계셨기 때문에 거룩한 땅입니다. 이 말이 떨어지자 여호수아는 그대로 행했습니다. 그 결과는 무엇이었습니까? 여리고성 공략의 완벽한 성공입니다. 놀라운 전쟁 승리의 기적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성의 주위를 돌고 제사장의 나팔소리에 맞춰 소리를 질렀을 뿐인데 그 견고한 성이 그냥 무너져 내렸습니다. 하나님의 군대 대장이 나타났듯이 이스라엘 군대와는 별도의 군대가 눈에 안 보이게 파견 받아 왔으며 이스라엘이 소리 지를 때에 그들이 성을 무너뜨렸습니다.
아니 하나님의 군대 대장과 함께 친히 임재하신 하나님께서 그의 군대들을 통해 친히 여리고성을 치셨기 때문입니다. 여호수아가 하나님 앞에서 신발을 벗고 순종하여 거룩함을 지킴으로써 하나님으로부터 얻은 승리입니다. 오늘 본문이 전하는 이 기이한 이야기 속에서 우리가 보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약속을 신실하게 지키시는 하나님입니다. 수1:5-6에서 하나님께서는 여호수아에게 뭐라고 말씀하셨습니까? “네 평생에 너를 능히 대적할 자가 없으리니 내가 모세와 함께 있었던 것 같이 너와 함께 있을 것임이니라. 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며 버리지 아니하리니 강하고 담대하라. 너는 내가 그들의 조상에게 맹세하여 그들에게 주리라 한 땅을 이 백성에게 차지하게 하리라” 하셨습니다.
오늘 본문은 그 약속을 어김없이 이행하시는 하나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여리고 가까이 가서 임박한 전투를 준비하고 있는 여호수아에게 당신의 군대 대장과 그의 군대를 거느리시고 찾아오셨습니다. 그리고 친히 여리고성을 무너뜨리시고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을 차지하도록 이끄셨습니다.
여호수아를 대적할 자가 없음을 보여주셨습니다. 여호수아 자신이 천하장사이고 신출귀몰하는 장수이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함께하실 것이기 때문에 그를 대적할 자가 없다는 말입니다. “내가 모세와 함께 있었던 것 같이 너와 함께 있을 것임이니라”하신 약속대로 여호수아와 함께하심을 확실하게 드러내셨습니다.
여호와의 군대 대장을 통해 여호수아에게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 네가 선 곳은 거룩하니라” 하신 말씀은 바로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하셨던 말씀입니다. 모세가 미디안 제사장인 그의 장인 이드로의 양 떼를 치느라 그 양들을 호렙산으로 이끌고 갔을 때 그는 불이 붙기는 했으나 타지는 않는 떨기나무를 보고는 그 기이한 광경을 가까이 가서 보려고 다가가자 하나님께서 “모세야 모세야 이리로 가까이 오지 말라. 네가 선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어라”
모세에게 하신 것과 꼭 같은 말씀을 여호수아에게도 하신 것은 여호수아가 하나님께서 세우신 모세의 후계자이며 하나님께서 모세와 함께 하셨던 것처럼 여호수아와도 함께하심을 확신시키시려는 의도임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신실하신 하나님이십니다.
여호수아 앞에 불쑥 나타난 하나님의 군대 대장은 “칼을 빼어 손에 들고”서 있었다고 했습니다. 이것은 그가 당장이라도 싸울 준비가 되어있음을 가리킵니다. 이것은 또한 하나님 자신이 언제든지 여호수아와 함께 싸우실 준비가 되어 계셨음을 의미합니다.
여호수아에게 “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며 버리지 아니하리니 강하고 담대하라”하신 그의 약속을 한 치의 오차 없이 실행하시려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보여줍니다. 여호수아 앞에 나타나 선 자가 “나는 여호와의 군대 대장으로 지금 왔느니라” 한 것은 “하나님께서 지금 여기 오셨느니라” 하는 말과 같습니다.
“네가 전투를 시작하면 오실 것이다”가 아닙니다. “보아라. 지금 이미 와 계시다”는 말입니다. 치열하고 힘겨울 전투에 앞서 여호수아에게 조금도 의심의 여지없는 승리의 확신과 보증을 주시는 하나님을 나타냅니다.
오늘 본문의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께서 오늘날 우리에게 주시는 메시지는 무엇이겠습니까? 오늘날 우리가 처한 상황과 우리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하나님으로부터 얻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여호수아가 얻은 답이 어떤 전술이나 군사적 준비에 관한 것이 아니라 신앙적인 것들입니다.
우리가 오늘날 우리의 과제를 풀기 위해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이 신앙의 바른 자세임을 알아야 합니다. 여호수아에게 주어진 명령이 그가 선 그 자리에서 신발을 벗는 것이었듯이 오늘날 우리도 먼저 해야 할 것은 우리의 발에서 신발을 벗는 일입니다. 곧 지금 우리가 선 이 자리에 하나님께서 임재해 계심을 깨닫고 우리의 거룩함을 지키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사실상 우리의 문제를 풀기 위해 우리가 할 일은 하나님의 백성다운 거룩함을 확실히 지니는 일입니다. 그것만 확실히 하면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그의 군대를 통해서 다 이루어 가십니다. 여리고 성이 순식간에 무너졌듯이 우리를 가로막고 있는 모든 장벽은 무너져 내릴 수 있습니다.
여호수아에게 하셨던 약속, 곧 “네 평생에 너를 능히 대적할 자가 없으리니 내가 모세와 함께 있었던 것 같이 너와 함께 있을 것임이니라. 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며 버리지 아니하리니 강하고 담대하라. 너는 내가 그들의 조상에게 맹세하여 그들에게 주리라 한 땅을 이 백성에게 차지하게 하리라” 하신 말씀이 바로 오늘 우리에게 하시는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으로 들려지고 받아들여져야 합니다.
그 말씀을 믿고 따라야 합니다. 약속에 신실하신 하나님을 의심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께 전적인 신뢰와 충성과 순종을 드려야 합니다. 여호수아가 “내 주여 종에게 무슨 말씀을 하려 하시나이까?” 물었듯이 우리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고 해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군대 대장이 여호수아에게 말하기를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 네가 선 곳은 거룩하니라”했을 때 여호수아가 그대로 행했던 것처럼 우리 또한 하나님의 말씀에 즉각적이고 온전히 순종해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가 승리하는 길입니다. 거룩한 삶을 통해 날마다 승리하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