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갱신론 강의록

교회갱신론 강의록(7) : 조직에 대한 이해-교수 주태근

주 바나바 2022. 8. 15. 11:28

교회갱신론(7) : 교수 주태근

 

 

B. 조직에 대한 이해

 

1. 조직의 원리와 기능

 

조직과 관리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어 모든 조직은 효과적인 관리기능을 위한 이상적인 관리체계의 형성에 그 목표를 두어야만 한다. 모든 조직은 관리기능의 달성을 위하여 수시로 그 구조를 합리적으로 변경하고 개선하는 동태와 끊임없이 최고 이상형을 지향하는 행위 또는 활동도 조직화의 의미에 사용된다.

 

 

a. 조직의 정의

 

조직이란 공동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든 인간의 협동체를 이룬 형태를 말한다. 그러나 다양한 목적과 활동을 위한 인간 협동체의 모든 형태를 모두 조직이라고는 정의하지 않는다. 그 조직 안에 있어서 그 자체의 목적을 표시하지 않으면 아니 되는 인간행동을 협동하도록 요구하는 공리적인 형태에 이르렀을 경우에만 조직이라고 칭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조직이란 복수의 인간이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병렬의 질서관계를 그 지위(position)와 기능(function)을 규정하며 일체적인 협동체를 통하여 이루고 있는 형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b. 조직의 원리

 

조직의 원리는 어떠한 조직이 주어진 일 또는 공동목적을 수행하는데 가장 합리적이고 적합한 조직이냐 하는 문제를 과학적으로 인식되는 조직에 관한 근본이론과 원리원칙을 가리키는 것이다.

조직의 원리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고려되는 근본요소가 있다.

첫째 일의 성격에 따라 조직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조직은 융통성(flexible)이 있어야 한다.

둘째 조직 형태는 규모의 대소에 따라 단일 편성에서 복잡하고 대규모적인 조직편성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가 있다.

셋째 조직은 지휘, 통제, 감독의 계통이 확립되어야 한다.

 

 

조정의 원리

 

조정의 원리는 조직상의 최고의 원리로서 조정, 권위, 상호 봉사, 또는 상호 부조, 사무규정의 네 가지 요소로 분석된다. 조정이란 공동목적을 수행함에 있어서 행동의 통일이 구현되도록 질서적으로 배열되고 통합정리 되는 것을 말하며 권위는 조정의 근거이며 기능을 수반하는데 수반의 명령과 복종의 관계를 계통화 하는 기초 즉 최고 권력을 말한다. 만일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서 함께 일하고자 한다면 당연히 그들의 노력을 조정하는 일이 필요한 것이다.

버나드(Barnad)는 이렇게 말하였다. “조정은 조직의 창조적인 측면으로서 조직의 내부적인 요소의 조정과 함께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환경과 조직 간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존속을 도모하는 기능이다.” 이것은 조정을 개방체제로서 조직의 적응과 통합 기능에 관련시켜 서술한 것이다.

 

효율적인 조정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행정조직의 확산현상이 있고 행정 기능의 전문화 기능이 있고 조직 내적인 원인으로서 최고 지도자의 능력이 충분한 리더쉽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한 이들의 사회적, 교육적 배경이 상이하여 동질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

 

또한 효율적인 조정의 지침을 살펴보면 역할과 책임의 명확한 배분과 권한이 위임되는 경우에 권한의 균형을 이루어 전체와 능동적 관계를 갖도록 해야 한다. 사업계획의 작성에 참여하는 자는 이것을 수행하는데 조정함에 있어서 적극적이다. 권한은 조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책임과 상응하여야 하며 중요한 권한의 위임은 정기적으로 재평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조정의 원리적용에 따라서 조직의 기능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아 교회 지도자는 조정자로서의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계단적 통제 형태의 원리

 

여기서 말하는 계층(scalar)위계(位階)의 등급을 이루는 피라밋(pyramid)형의 계단적 통제형태 즉, 계층제(hierarchy)를 의미한다. 이 원리는 직무를 몇 계단의 등급으로 구분하는 통제체제의 수립을 의미한다. 계층제에 따라 최고 책임층, 중견 책임층 및 특수한 업무 수행층으로 구분하게 된다. 계층과정에 대하여는 3가지로 분석할 수 있다. 지도권 또는 권한의 위임(delegation) 직능규정 또는 직무의 결정인데 이 세 항목의 계층과정은 각기 그 자체의 원칙을 지니고 있다.

 

 

기능원리 또는 직능주의

 

조직의 제 3 원리는 기능원리 또는 직능주의라고 하는 직무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고 또한 과업의 전문화에 따르는 분업체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제원칙을 말한다. 이것은 직능과 직무의 종류 간에 인식되는 차이를 명확히 하여 기능의 분화를 체계화 하는 것이다.d; 원리는 직무의 종류를 구분하고 각 과업의 전문화에 응하여 분업체를 확립함으로써 능률화와 기술적 합리화를 구현하려는 직능의 분화인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업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각성된(member) 것들을 구분하여야 하는 것이다. 현대교회는 초대교회의 사도들이 사용하였던 성서적 조직형태를 따라서 기능별로 업무를 능률적으로 분화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