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갱신론 강의록

교회갱신론(9) : 조직 변화와 조직 개발-교수 주태근

주 바나바 2022. 10. 15. 10:18

교회갱신론 강의록(9)-교수 주태근

 

 

2. 조직변화와 조직개발

 

a. 조직변화와 조직의 능동화

 

조직변화(organizational Change)조직의 내부체계를 변화시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높임으로써 유지해 가는 과정을 말한다.

조직의 유지는 곧 조직의 지속적 성장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조직변화의 목적은 예나 지금이나 조직적, 개별적, 성장력 요소를 개발하여 조직전체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직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조직이론의 변천 흐름에 따라 그 내용을 달리하고 있다. 계통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유효성을 경제적 능률에 거의 국한 하였다. 즉 인간을 생산의 수단으로 판정함으로써 조직은 생산성을 향상하는 경제적 능률에 관심이 집중되었고, 이러한 경제적 능률이 증대될 때 조직의 유효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b. 조직개발의 이론적 접근

 

조직개발은 조직의 유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개방 체계적 조직전략으로서 인간적 접근이라는 출발 위에 조직 전체를 변화시키려는 계획적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조직개발은 최고 경영층의지지 하에 행동과학의 지식을 활용하여 조직의 전체적인 체계에 걸쳐 조직의 유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조직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이다.

웩슬리와 유클(K.N. Wexley & G.A. Yukl)은 이상과 같은 조직개발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첫째, 조직내부 상호간의 유기적 체계를 가짐으로 어떠한 하부조직에서도 조직개발이 시도될 수 있는 전체적 조직체(Total Organization)를 가지고 있다.

둘째, 최고 경영층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변화 체계자는 조직개발의 초기에 외부인이 주도 하지만 점차 내부인의 역할이 중요시 된다.

셋째, 조직의 유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적 과정이다.

넷째, 행동과학의 지식이 응용된다. 그러므로 조직개발의 모든 면은 리더쉽, 커뮤니케이션, 모티베이션과 같은 행동과학의 지식과 기술에 기초를 둔다.

다섯째, 조직적 개인 보다는 팀 또는 그룹 업적과 태도, 행동과학에 집점을 두고 있으며 경험적 학습방법에 의존한다.

여섯째, 목표설정과 그 행동계획을 중시하여 각 개인이나 전체 그룹에게 측정 가능하고도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실천에 옮기려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마디로 조직개발은 그 기본개념을 조직의 민주화와 권력 평등화에 두면서 궁극적으로는 조직전체의 유효성을 개선하려는 변화활동이라 할 수 있다.

 

아랍에미리트 한국중공업 현장 한중교회 입당식(1990년) : 현장 소장과 서신길 목사(아부다비한인교회 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