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회갱신론 강의록(15) : 교회의 정책문제(글-주태근)

주 바나바 2023. 7. 21. 09:34

교회갱신론 강의록(15) : 교회의 정책문제(글-주태근)

 

 

D. 교회의 정책문제

 

1. 교회는 정치적 공동체다

 

크리스찬 교회는 정치적 공동체이다. 이 의미가 기독교인들에게서 받아들여지기가 매우 어렵다. 교회는 정치를 초월해야 한다는 것이 상식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교회는 영적공동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사회구조의 형태를 보아서도 국가의 복지나 개인의 안녕 질서를 위하여 정치가 필요하듯이 교회의 존재도 정치적 형태를 통하여 확장되고 유지되어 진다.

 

교회를 정치적 교회라 할 때 교회의 정치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쯔빙글리(Zwingli)의 말대로 그리스도 표준과 규범에 의해 교회가 정치를 기독교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a. 교회의 정치적 활동에 대한 이해

 

정치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인식은 제도와 같은 생활의 형태를 집중시킨다. 그러므로 제도는 행동의 유지적인 형태이며 인간사회의 관계이다. 제도는 시간과 장소와 관계된다. 그것은 동적이며 기능적이다. 동시에 영구적이다. 그것은 활동을 통한 형태이다. 또한 그것은 정치적 결정과 사회적 힘의 발동을 통한 행동과의 관계 양식이다. 인간사회처럼 교회는 정치적 결정을 해야 하며 결정된 권리를 행사하기 위한 사회적 힘을 가져야 한다. 그래서 교회는 어떤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사회적 힘의 형태를 발견하게 된다. 그 형태는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특별한 사람에게 부여하는 권위를 통해서 존재한다. 권한이 명백한 곳에서 사람들은 정치적 과정을 통한 임무를 부여 받는 것이다.

 

 

b.교회정책의 역동성

 

교회 또는 국가의 정책은 정지된 상태가 아닌 진행과정이다. 하나의 정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을 하고 행동을 함으로서 그 과정을 지켜보아야 한다. 그 정책의 과정은 조직의 유형처럼 공식적, 비공식적 양상을 띠고 때로는 월권의 모형을 취하기도 한다.

 

공식적 체제는 헌법, 법률, 조직적 목록 그리고 작업 또는 종류에 의하여 규정된다. 비공식적인 체제는 실제로는 규정되지 않고 개인적인 이해관계와 개인적 영향의 행사로서 구성된다. 이런 의미에 있어서 교회는 비공식적 체제의 형태가 필요하다. 공식적인 현태는 스스로 결정하기가 불합리하여 업무 수행이 어렵다. 비공식체제는 공식체제가 무력해질 때 기능적으로 필요하다.

 

교회의 의사결정은 많은 동기에 의해 저지되고 많은 관점의 결말을 가져온다. 그리고 교회는 교회생활의 정책적 과정에서 변화한다. 교회는 효과적인 형태를 찾아야 한다. , 새로운 제도적 형태가 요구되어 진다.

 

 

c. 정치적 교회의 새로운 형태

 

교회에서 노동의 전문화는 새로운 정치적 지위와 절차를 창조한다. 능숙한 지식은 종교교육, 젊은이의 행동, 교회의 확장, 도시의 행동, 교회의 일 그리고 직무의 분야를 요구한다. 이러한 분야에서 임무를 수행할 때 특별한 훈련이나 재능과 지식이 없이는 유용치 않다. 기능의 전문화는 인간의 전문화를 요구한다.

 

Troeltsch는 사회문제의 입장에서부터 교회의 활동이 지도 되어 야 하는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명확한 정치구조의 개발이 없이는 오래 존속할 수 없는 것임을 밝힌다. 조직적인 구조 없이는 오래 존속할 수 없다. 정책 과정의 개발은 사회학적 필요성이며 사회의 도덕적 퇴보의 표시가 아니다. 부패의 가능성은 교회정책에도 숨겨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덕적 부패가능은 교회가 적당한 정책조정을 개발해야만 하는 근본적 요구를 더럽히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새로운 정책은 크리스찬 공동체의 존재에 꼭 필요하다.

 

 

d. 교회 안의 정치적 행동유형

 

새로운 집단들은 정치적으로 활동성을 지녀가고 있으며 루터파의 목회자인 Keith Bridston은 그의 책에서 그러한 행동을 강조하고 있다.

 

요크(York)대학 총장인 알란 리차드슨(Alan Richardson)은 그의 책에서 교회 내에서의 정치적 활동이 중요함을 언급 하였는데 이러한 권력형태의 하나로서 정치적 활동에 많이 가담하고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멕코믹의 로버트 윌리(Robert C. Worley)는 불만을 지닌 자들이 다른 사람에 대한 이러한 정치적 행동에 대한 반응으로 정치적 행동에 가담한다고 말한다. 또한 그는 이러한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로부터 행해져온 정치적 행동의 유형을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음의 도표와 같이 오늘날 교회에 있어서 현저한 정치적 행동 유형이 있다.

구조론적스타일(Structurlist)과 다원론적스타일(Pluralist)이 있다. 각 스타일은 회중의 행동에 대해 나름대로의 독특한 영향을 끼친다.(그림 1-3)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