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12

교회갱신론 강의록(16) : 선교전략수립(1) 글-주태근

교회갱신론 강의록(16) : 선교전략수립(1) 글-주태근 F. 선교전략 수립(Mission Strategy) 교회의 속성에 대한 종합적인 정의는 네 가지 측면에서 구분되고 있다. 첫째, 공동체적(Communal) 측면이다. 둘째, 전인적인(Personal) 측면이다. 셋째, 영적(Spiritual) 측면이다. 넷째, 기구적인(Institutional) 측면이다. 이것은 교회선교의 제반활동을 위한 직제, 의식, 기능, 역할 등의 구체적인 선교조직을 의미한다. 이 네 가지 측면에서 기구적인 측면을 살펴보겠다. 1. 선교의 본질과 갱신 브루너(E. Bruner) 교수」는 “교회는 곧 선교이다. 불은 붙는 것으로 존속하는 것처럼 교회는 선교로만 존속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앤더슨(Gerald H. Anders..

예배학 강의록(18) : 세례 성례전의 신학적인 의미(글-주태근)

예배학 강의록(18) : 세례 성례전의 신학적인 의미(글-주태근) E. 세례 성례전의 신학적인 의미 1. 세례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는 결정적인 사건이다. 롬 6:3-6, 고전 12:13, 갈 3:27-28, 골 2:11-12절은 기독교 세례가 그리스도와 관계가 있음을 알려준다. 즉 세례는 그리스도의 죽으심, 장사, 또는 부활에 의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의미하고 있다. 물론 세례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베푸는 것이므로 주님 한분만 연합하는 이상의 것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것은 그리스도 자신과의 연합일 뿐 아니라, 아버지와 성령님과의 연합이며 관계이다(요 14:16-17, 17:21-23 참조). 그리스도와의 연합된 새로운 몸으로서의 출발이 다짐되고 공표되는 예전으로서의 세례는 수세자를 ..

예배학 강의록 2024.01.28

아랍선교 강의록(14) : 중동지역 동방기독교(景敎) -글 주태근

아랍선교 강의록(18) : 중동지역 동방기독교(景敎) -글 주태근 제 3 부 중동지역 동방기독교(景敎) A.D.70년 로마에 의해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고 유대가 망함으로,"제 2의 디아스포라"라고 불리는 피난민들의 도주는 시작되었다. 이 때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국경을 넘어 페르시아와 남부 아라비아로 도망하였고, 일부는 인도까지 갔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자연스럽게 동방 기독교의 출발이 되었을 것이다. 아시아는 인문학과 문화의 요람이었듯이 기독교에도 요람이었다. 안디옥이 서방 선교의 전초기지였듯이, 에뎃사는 동방 선교의 근거지였다. 190년경에 안디옥교회는 에뎃사 지역을 희망적인 선교지로 꼽으면서 관심을 보였다. 201년에 있었던 홍수로 에뎃사의 교회가 파괴되었다는 기록은 이미 잘 조직된 교회가 그곳..

설교학 강의록(18) : 설교전달법-직접 전달 방법(글-주태근)

설교학 강의록(18) : 설교전달법-직접 전달 방법(글-주태근) Ⅲ. 설교 전달법 1. 직접 전달 방법 1) 원고 설교 원고를 강단에 놓고 직접 읽는 방식으로서 설교자를 평안하게 하며 설교의 내용이 명확하다. 유감스럽게 생략하는 부분이 없이 설교를 제시할 수 있다. 설교 준비에는 쓰는 것보다 더 가치 있는 훈련은 없다. 그래서 목회 초년에 특별히 가치가 있다. 그러나 원고 설교는 책을 읽는 것처럼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또한 생각을 제한하며 청중과의 시선 연결에 실패할 수 있다는 단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원고 설교는 철저하게 원고를 준비하되 원고에 매이지 않고 준비한 설교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가끔 원고를 보지만 회중과의 시선이 중단되지 않고, 회중을 보면서 이야기하면 서도 다..

설교학 강의록 2024.01.28

선교학 강의록(18) : 복음주의 선교(1)-글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8) : 복음주의 선교(1)-글 주태근 2. 복음주의 선교 ‘복음주의’(Evangelikalisumus)란 현대 선교와 관련하여 ‘복음주의자들’(Evangelikalen)과 밀접한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 즉 복음주의자들이 이해하고 추구하는 신학을 일반적으로 복음주의 신학이라고 한다. 세계 선교는 ‘복음’이라는 씨앗을 심어 열매 맺는 사역을 감당하여 왔다. 씨앗이 땅에 심겨져 싹을 내는 것처럼 복음의 씨앗도 심겨질 땅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가장 확실하게 충족 시켜준 것이 바로 복음주의 선교신학이라고 볼 수 있다. 복음주의 선교는 무엇보다 예수님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즉 전도와 교회 개척을 선교의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교학 강의록 2024.01.28

교회론 강의록(18) : 선교란 무엇인가?-글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8) : 선교란 무엇인가?-글 주태근 2. 선교란 무엇인가 ?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선교에 관한 말에는 “선교”(Mission)와 “전도”(evangelism)가 있다. “선교”란 본래 라틴어의 missio 즉 파견 또는 사명이라는 뜻을 지닌 말이고, “전도”는 희랍어의 euangelion 즉 복음 또는 기쁜 소식이라는 뜻을 지닌 말이다. 이와 같이 말의 본 뜻에 관계되어서 전도라고 할 때에는 주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말로 선포하고 비기독교인을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동시에 교회의 일원이 되게 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전도는 주로 동일한 언어권이나 문화권에서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전도는 그 말이 처음 사용된 신약성서 시대로부터 오늘날까지 그 의미가 달라지지 않았다는 데에 그 특징이..

교회론 강의록 2024.01.28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고후 13:13) : 글-주태근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고후 13:13) 주태근 영국에서 발간되는 텔레그래프라는 잡지에 실린 2002년 5월 23일자 기사내용입니다. 부스라(Busra)라는 7세 된 아이에 대한 보도입니다. 이 아이가 세살 때에 라스무센 신드롬(Rasmussen syndrome)이라는 희귀한 뇌질환을 앓았는데, 네덜란드의 유트레히트 대학병원에서 절반의 뇌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언어를 통제하는 신경이 있는 좌뇌를 수술로 모두 제거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그 아이가 다시는 말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선고했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이 아이가 편도선염으로 로테르담 대학병원에 입원했는데 깜짝 놀랄 일이 아이에게 일어났습니다. 좌뇌가 재거되어 언어중추를 상실한 채 절반의 뇌만 가진 이 아이가 자기 여동생에게는 화란어..

카운트다운 인생(시90:10) : 글-주태근

카운트다운 인생(시90:10) 주태근/VIP초청전도주일 오래 전 거대한 우주 왕복선이 발사 기지에서 이륙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숨 가쁜 카운트다운이 시작되었습니다. "열, 아홉, 여덟,... 그렇게 세다가 셋" 하면서 갑자기 카운트 소리가 멈추었습니다. 우주선 발사안전을 마지막까지 점검하던 과학자들이 무언가 결함이 있음을 발견 하고는 발사를 급히 중지시켰습니다. 보도진들과 보고 있던 군중들은 퍽 실망을 했겠지만 1초만 늦었어도 우주선과 함께 잿더미가 될 뻔했던 귀한 생명들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오래전 서울에서 있었던 어느 일류 백화점 붕괴 사고의 현장입니다. 참사가 있기 몇 시간 전, 백화점에서는 사장과 기술자와 중역들이 모여, 며칠 전 발견된 천장의 균열 문제를 놓고 긴급회의를 하고 있었습니다. 회..

부활의 능력(눅24:1-6) : 글-주태근

부활의 능력(눅24:1-6) 주태근/부활절 피조물은 자기 나름대로 힘(energy)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힘으로 자기의 생명을 유지합니다. 자손을 번성시킵니다. 하루살이에서 독수리에 이르기까지 자기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로 날갯짓을 하면서 하늘을 날고 생을 유지합니다. 쥐벼룩에서 아프리카의 초원을 누비는 수천마리씩의 루우나, 얼룩말, 맹수들도 선천적으로 물려받은 에너지를 활용하여 번식하고 살아갑니다. 에너지가 고갈되는 날에 그들의 생명도 끝나게 됩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강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태양은 지구처럼 고체의 껍질을 가진 것이 아닙니다. 전체가 거대한 고온의 기체의 둥근 공으로 되어 있습니다. 태양의 기체를 이루는 원소는 그 대부분이 수소(H), 다음이 헬륨 (He)이고, 이 밖에 극히 적은 ..

청년이 살아있는 교회(눅7:11-17)

청년이 살아있는 교회(눅7:11-17) 글-주태근 어느 무더운 여름이었습니다. 한 청년이 더위에 지쳐 숨을 헐떡이고 있었습니다. 그때 문득 눈앞에 커다란 냉동실이 나타났습니다. '냉동실은 얼마나 시원할까 !' 청년은 그런 호기심을 물리치지 못하고 냉동실로 들어갔습니다. 그때 철컥하고 냉동실의 문이 닫히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그만 밖에서 문이 잠겨 버리고 만 것입니다. 냉동실 안에서는 결코 문을 열 수가 없었습니다. 당황한 청년은 문을 두드리며 도와달라고 소리를 쳐 보았으나 아무도 도와주지 않았습니다. 냉동실에 갇힌 청년은 깊은 절망감에 사로잡혀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유서를 썼습니다. “이젠 완전한 절망이다. 죽음의 그림자가 나를 죄어온다. 내 몸은 점점 얼음으로 변하고 있다. 조금 후면 꽁꽁 얼어 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