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론 강의록 18

교회론 강의록(18) : 선교란 무엇인가?-글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8) : 선교란 무엇인가?-글 주태근 2. 선교란 무엇인가 ?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선교에 관한 말에는 “선교”(Mission)와 “전도”(evangelism)가 있다. “선교”란 본래 라틴어의 missio 즉 파견 또는 사명이라는 뜻을 지닌 말이고, “전도”는 희랍어의 euangelion 즉 복음 또는 기쁜 소식이라는 뜻을 지닌 말이다. 이와 같이 말의 본 뜻에 관계되어서 전도라고 할 때에는 주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말로 선포하고 비기독교인을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동시에 교회의 일원이 되게 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전도는 주로 동일한 언어권이나 문화권에서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전도는 그 말이 처음 사용된 신약성서 시대로부터 오늘날까지 그 의미가 달라지지 않았다는 데에 그 특징이..

교회론 강의록 2024.01.28

교회론 강의록(17) : 교회와 선교(글-주태근)

Ⅸ. 교회와 선교 하나님의 교회가 감당해야 할 중요한 사명 가운데 하나는 선교 즉 복음전파인데, 그것은 사역으로써의 일이라기보다는 성도의 본질적인 표현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타당할 것이다. 왜냐하면 선교는 어떤 인간적 행위에 대한 결과로써의 결정체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에 따라 자연스럽게 맺어지는 열매이기 때문이다.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제자들에게 “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마가 16:15)”고 명하셨으며, 승천하시기 직전에는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고 하시므로 선교가 지상교회의 필연적인 사명임을 보여 주었다. 한동안 한국교회는 선교를 선택적인 것으로 생각해온 ..

교회론 강의록 2024.01.18

교회론 강의록(16) : 교회의 권세(교수-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6) : 교회의 권세(교수-주태근) 3. 교회의 권세(The power of the Church) 1) 권세의 본질(The Nature of This Power) 교회의 권세는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만이 행사될 수 있으며, 신자들에게만 속해 있으며, 도덕적이고 영적인 방법으로만 행사될 수 있다. 교회는 인간의 내적이고 영적인 신분에 대한 하나님의 통치를 대표한다. 교회의 권세는 영적이기 때문에 강권에 호소하지 않는다. 교회의 권세는 독립된 주권적인 권세가 아니라, 사역적 권세이며, 그리스도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교회에 대한 그의 주권적 권위에 종속된다. 이 권세는 그리스도가 교회를 통치하는 방법대로, 하나님의 말씀과 일치하고 성령의 지도하에, 그리고 교회의 왕이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행사되..

교회론 강의록 2023.08.11

교회론 강의록(15) : 교회의 회의(글-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5) : 교회의 회의(글-주태근) 2. 교회의 회의(The Ecclesiastical Assemblies) 1) 각종 교회회의 개혁 교회의 정체는 상향식 또는 하향식 구조를 가진 교회 회의 체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회의들은 당회, 노회, 대회, 그리고 총회이다. 당회(Session or Consistory)는 목사(목사들)과 지교회의 장로들로 구성되고 노회(Presbytery or Classis)는 일정한 지역에 있는 각 지교회에서 파송한 한 명의 목사와 한 명의 장로로 구성된다. 대회는 각 노회에서 파송한 같의 수의 목사와 장로들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총회(General Assembly)는 장로교의 경우에 있어서) 각 노회에서 동등하게 파송된 목사들과 장로들의 대표자로 구성된다. 2..

교회론 강의록 2023.07.21

교회론 강의록(14) : 교회와 정치(교수-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4) : 교회와 정치(교수-주태근) : 교회와 정치(The Government of the Church) 1. 교회의 직원 (the officers of the church) 1) 비상 직원(Extraordinary officers) 가. 사도(Apostles) 예수님이 선택하신 열두 제자들과 바울에게만 적용된다. 그러나 이 명칭은 바울의 사역을 돕고 사도적인 은사들과 은혜를 받은 일부의 사도적 인물들에 대해서도 적용된다(행 14:4, 14; 고전 9:5, 6; 고후 8:23). 사도들에게는 모든 시대의 모든 교회의 기초를 놓는 특별한 과업이 부여 되었고 그들 이후에 오는 모든 신자들은 오직 그들의 말을 통해서만 예수 그리스도의 친교를 갖게 된다. 그들은 하나님 또는 예수님으로부터 직접 ..

교회론 강의록 2023.06.22

교회론 강의록(13) : 교회의 조직(글-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3) 교회의 조직 글-주태근 온 세상에 구원의 복음을 선포하는 일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교회 조직은 필수적이다. 무질서와 혼란, 복음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하고 무력화시킨다. 조직 없는 교회는 곧 무너진다. 교회의 조직에 관한 견해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부분이다. 왜냐하면 교회에 있어서 조직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교회가 인위적 방법으로 만들어진 로마교회와 같은 정치 집단으로 변모해 버릴 우려가 있고, 조직을 너무 무시하다 보면, 교회가 무교회주의와 같은 처지가 되어 교회 존립이 어려워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회를 교회답게 성장시켜 가기 위해서는 조직체로서의 교회를 이해하고 그 조직을 개발시켜 나가야 한다. 1. 교회 조직의 원리 교회 조직의 원리는 그리스도께서 성령을..

교회론 강의록 2023.06.12

교회론 강의록(12) : 세례에 대한 이해(글-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2) : 세례에 대한 이해(글-주태근) 3. 세례에 대한 이해 개신교의 전통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구원을 우리에게 전하는 성령의 은혜는 말씀과 세례와 성찬을 통해 전달된다. 그리스도 안에서 객관적으로 일어난 구원은 성령을 통하여 우리에게 주관적으로 일어나며, 그리스도가 구원을 일으키는 원인이라면 성령의 능력 속에서 집행되는 세례는 도구적 원인이다. 그러나 굳이 따진다면 구원을 전하는 순서에 있어서 세례가 성찬에 앞선다고 하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세례는 시작의 성례전이며 은혜의 문이고, 성찬은 완성의 성례전이며 은혜의 길이다. 세례를 통하여 인간은 하나님 나라에 속한 새로운 피조물이 되며, 성찬을 통하여 인간의 피조물의 존재가 유지되고 완성되어 간다. 1) 세례의 이해 웨슬레는 세례를 교..

교회론 강의록 2023.05.31

교회와 성례전-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1) : 교수 주태근 Ⅵ. 교회와 성례전 성례전은 2000년전 역사적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하나님의 역사적 구원의 사건을 성령의 교통하심 안에서 오늘의 사건으로 일어나게 하는 수단이 된다는 데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사건은 오늘 우리에게 말씀의 선포와 성례전을 통하여 일어난다. 즉 말씀과 성례전을 통하여 오늘 우리에게 구원의 사건은 현재화되고 구체화된다. 1. 성례전의 용어의 개념 성례(Sacrament)라는 말은 라틴어 'Sacramentum'에서 온 것으로 본래 소송하는 두 당사자가 지불한 공탁금 총액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대교회에 있어서 성례전(sacramentum)은 musterion(뮈스테리온: 동방교회의 용어), 혹은 사크라멘툼(서방교회의 용어)로 불리웠다. ‘뮈스..

교회론 강의록 2022.10.15

교회의 사명-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0) : 교수 주태근 Ⅴ. 교회의 사명 교회의 사명이란 교회의 존재 이유에 대한 물음으로 교회는 무엇 때문에 있는가이다. 교회는 이 세상 속에서 그 자신의 독특한 사명을 가지고 있다. 이 사명은 교회를 교회답게 하는 것으로서 교회가 이 세상 속에서 계속 존재하는 한 교회가 반드시 추구하고 완수해야 할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사명이란 다음과 같다. 예배, 말씀선포(Kerygma), 교육(Didache), 친교(Koynonia), 봉사(Diakonia), 초대교회의 특징은 이 다섯 가지 측면을 잘 조화하여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는 모범적인 교회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회들은 이 다섯 가지 사명 중 어느 한쪽에 치우쳐 기형적인 교회로 되는 수가 많다. 우리가 반드시 추구해야 될 것은..

교회론 강의록 2022.08.18

교회의 정치제도-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9) : 교수 주태근 4. 교회의 정치제도 교회의 정치란, 교회가 그리스도로부터 분부 받은 임무와 사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회의 행정체제’를 말한다. 역사적인 교회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섯 가지 제도를 발전시켰다. 교황제도, 감독제도, 회중제도, 대의제도 그리고 무교직제도 등이다. 우리는 이 다섯 가지 제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1) 교황제도 로마 가톨릭교회는 교회를 위계제도에 의한 법국가로 본다. 신학적 의미로서의 국가가 아니라 세상법에 따르는 의미에서의 국가다. 이 위계제도는 군대처럼 계급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독(bishop)과 사제(priest)와 봉사자(diakon)로 되어 있다. 감독은 사도의 계승자가 될 수 있다. 예수가 사도에게 약속한 것은 그대로 감독에게도 해..

교회론 강의록 2022.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