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론 강의록 18

교회의 성격-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8) : 교수 주태근 4. 교회의 성격 1) 전투하는 교회와 승리의 교회(A militant church and a triumphant church) 현세의 교회는 거룩한 싸움을 싸우도록 부름을 받았으며 실제로 이 싸움에 참여하는 전투하는 교회이다. 교회는 교회 내에서와 교회 밖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적대 세력들과 흑암의 영적인 권세에 대항하여 부단히 전투를 수행하여야 한다. 지상교회가 전투하는 교회라면 천상의 교회는 승리의 교회이다. 2) 유형 교회와 무형 교회(A visible church and invisible church) 유형교회와 무형교회를 최초로 구분한 사람은 루터인데, 다른 개혁자들도 루터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 두 교회는 두 개의 다른 교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예..

교회론 강의록 2022.08.03

교회의 속성-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7) : 교수 - 주태근 3. 교회의 속성 종교개혁자들이 제시하는 교회의 표지를 거부하고 개신교를 거짓교회로 정죄하기 위해 로마가톨릭 신학자들은 전통적 교회의 4대 속성, 즉 통일성과 거룩성과 보편성과 사도성을 교회의 표지로 간주하기 시작했는데, 그 출발점은 로마교의 트렌트공회(1545-1563)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마교회가 교회의 속성을 교회의 표지로 오용한 것은 교리의 역사를 모르는 무지의 소치거나, 알면서도 무시한 권력의 남용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로마가톨릭 신학자들과 달리 종교개혁자들은 그 네 가지를 교회의 전통적 해석에 따라 교회의 속성으로 간주한다. 교회의 표지가 참교회와 거짓교회를 구분하는 수단이라면 교회의 속성은 교회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도구일 것이다. 3..

교회론 강의록 2022.07.31

교회의 이해-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6) : 교수 주태근 Ⅳ. 교회의 이해 '교회'란 무엇인가? 라는 주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그 본질이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교회의 본질에 대한 문제는 역사적으로 많은 논란이 야기되었던 문제이다. 2세기 말에 이단들의 발흥으로 인하여 교회가 외면적 조직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게 된 나머지 그 여파로 중세 로마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 결과 중세 교회는 그 본질에서 벗어난 교회 아닌 교회로 둔갑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와 같이 빗나간 교회로부터 벗어나기를 시도했던 개혁파교회는 상당한 부분에서 교회의 순수한 본질을 회복하려고 노력을 했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에 전성기를 이룬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성서에 대한 고등비평이 가해지면서 개혁파교회 역시 성서적인 교..

교회론 강의록 2022.07.27

어거스틴(St. Augustine)의 교회론-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5) : 교수 - 주태근 5. 어거스틴(St. Augustine)의 교회론 어거스틴은 354년 북아프리카 누미디아(Numidia) 타가스테(tagaste)란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교도 집안의 존경받는 중류 집안에 속했고, 그의 어머니 모니카(Monnica)는 경건한 기독교인으로 어거스틴에 강한 영적 영향을 끼쳤다. 그러므로 그는 마니교(Manichaeism)에서 개종하여 387년 세례를 받고, 395년 히포(Hippo)의 감독(Bishop)이 되었다. 어거스틴의 교회론은 그의 「하나님의 도성」 사상과 연관 속에서 형성되었다. 세계의 역사는 하늘의 도시와 인간의 도시로 나뉜 두 도시의 ‘진행’이라는 것이다. 천사의 타락과 함께 타락한 인간들에 의하여 이 세계는 두 도성이 생겨났..

교회론 강의록 2022.07.25

이레네우스/터툴리안/클레멘트/오리겐/키프리안의 교회론-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4) : 교수 주태근 4. 이레네우스/터툴리안/클레멘트/오리겐/키프리안의 교회론 1) 이레네우스(Irenaeus) 교회론 이레네우스는 주후 130년 소아시아에서 출생했고, 서머나에서 자랐으며, 177년 가울(Gaul)에 있는 리용(Lyons)의 감독이 되었다. 그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한 포티우스(Pothius) 감독의 뒤를 이어 감독이 되었다. 이레네우스의 주저는 「이단 지식을 논박함」(the Refutation of false Knowledge)로서 이는 당시 이원론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영육을 양분화하면서 육으로부터의 해방을 구원으로서 설파한 영지주의(Gnosticism)을 반론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이 반론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그의 교회론의 윤곽지었다. ‘새 이..

교회론 강의록 2022.07.23

교부시대 교회론-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3) : 교수 - 주태근 Ⅲ. 교부시대 교회론 교부시대(patristic period)는 주후 1세기말에서부터 5세기 초엽 사이를 계수하는 것이 교회사가들의 일반적 견해이다. 데이비스(J. G. Davies)는 교부시대의 제 1기는 ‘사도적 교부와 주후 2세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비스는 교부시대를 4기로 구분하는데 교부시대 제1기인 주후 1세기 말과 2세기 사이에 편만했던 시대적 배경은 다원적이고 복잡한 것이었다. 그리스와 로마의 신들, 플라톤주의의 영향으로 생겨난 스토아 철학(Stoicism), 열등적 신과 우월적 신으로 분류하면서 기독교의 새종파로 등장한 마르시온주의(Marcionism), 그리고 기독교 신앙과 교회 속에 강력한 세력으로 침투한 영지주의(Gnosticism)는 기독..

교회론 강의록 2022.07.22

성서적 교회론-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2) : 교수 - 주태근 Ⅱ. 성서적 교회론 성서적 교회란 구약에 나타난 언약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포괄하면서 동시에 ‘새 이스라엘 교회’를 지칭한다. 형태와 구조는 각기 달랐으나, 그것들은 많은 경우 연속성과 비연속성의 역사적인 연관성들을 가지고 역사 안에 출현했다. 회막(tent of meeting), 성막(tabernacle), 성전(temple), 회당(synagogue)으로 이어진 공동체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 이스라엘과 역사 사이에 일어났던 신앙적 역사적 경험의 표출이었으며, 이는 구약의 다양한 공동체성을 말해 주고 있다. 신약의 ‘에클레시아’(ecclesia)는 구약 공동체의 유형적 연속성을 지니면서도, 그 신앙적 역사적 경험의 내용에 관한 한 그것은 전적으로 새로운 사건이었..

교회론 강의록 2022.07.21

교회론 강의록-교수 주태근

교회론 강의록(1) : 교수 - 주태근 서론 교회에 대한 고백은 사도신조의 중요한 조항중의 하나였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에 대한 고백이 있은 다음에 “성도의 교제”란 말로 고백되었다. 사도신조는 기독교 교리의 표준이 된다. 이에 따르면 교회론은 조직신학의 제4조항으로 취급된다. 2000년 기독교 역사 중 교회가 신학적으로 문제된 일이 여러 번 있었다. 교회론이 처음으로 신학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아우구스티누스와 도나투스와의 논쟁이었다. 11세기에는 헨리4세와 힐데브란트(후에 그레고리 7세 교황이 됨)와의 싸움은 국가와 종교 간의 권력다툼이었다. 19세기에는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운동이 전개된 시기였다. 독일에서 일어난 자유주의 신학이 전통적 신학에 일대 충격을 주게 되어 급기야 미국에서 근본주의 운..

교회론 강의록 202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