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 강의록 18

선교학 강의록(18) : 복음주의 선교(1)-글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8) : 복음주의 선교(1)-글 주태근 2. 복음주의 선교 ‘복음주의’(Evangelikalisumus)란 현대 선교와 관련하여 ‘복음주의자들’(Evangelikalen)과 밀접한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 즉 복음주의자들이 이해하고 추구하는 신학을 일반적으로 복음주의 신학이라고 한다. 세계 선교는 ‘복음’이라는 씨앗을 심어 열매 맺는 사역을 감당하여 왔다. 씨앗이 땅에 심겨져 싹을 내는 것처럼 복음의 씨앗도 심겨질 땅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가장 확실하게 충족 시켜준 것이 바로 복음주의 선교신학이라고 볼 수 있다. 복음주의 선교는 무엇보다 예수님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즉 전도와 교회 개척을 선교의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교학 강의록 2024.01.28

선교학 강의록(17) : 현대선교신학 2(글-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7) : 현대선교신학 2(글-주태근) 6) 웁살라 총회(1968) 1968년 제 4차 WCC 총회가 스웨덴의 수도 웁살라에서 최대 규모의 참석자가 모여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220회원교회가 참석하였다. 주제로는 ‘만물을 새롭게 하라’를 채택하였다. 당시 세계 상황은 혁명적인 격변기였다. 미국에서 케네디의 집권 후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인권운동이 본격적으로 대두 되는 가운데 오랜만에 고무적인 열풍이 감돌았지만 케네디 형제,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암살 및 월남전의 영향으로 삽시간에 이전에는 없던 대 혼란기에 빠지게 되었다. 이에 웁살라 대회는 강력한 사회 정의와 인간성 회복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웁살라 대회는 선교의 목표를 “인간화”(humanization)로 내걸었다. 이제 선교는 ..

선교학 강의록 2024.01.18

선교학 강의록(16) : 현대선교신학 1 (교수-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6) : 현대선교신학 1 (교수-주태근) Ⅵ. 현대선교신학 현대선교신학은 복음주의 진영과 에큐메니칼 진영으로 양분되어 있다. 에큐메니칼 진영은 주로 선교의 ‘사회참여’ 입장을 주장하며, 세계교회협의회(W.C.C)계통에서 주장되고 있고, 복음주의 진영은 선교의 ‘복음전도’ 입장을 주장하며, 세계교회협의회 안에서의 소수의 주장이거나, 세계교회협의회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거나, 반대하는 사람들로 주도된다. 이들은 서로를 필요로 하지만 상당부분에서 대립하고, 일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1970년대를 기점으로 서로 일치보다는 대립의 구도가 심화되고 있다. 이런 대립구도는 ‘하나님의 선교’의 등장과 방콕대회의 “오늘날의 구원”(Salvation Today)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후 더욱 가속화..

선교학 강의록 2023.08.11

선교학 강의록(15) : 20세기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발전(글-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5) : 20세기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발전(글-주태근) 8. 20세기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발전 세기가 바뀌면서 세 가지 중요한 운동이 기독교 선교역사에 중요한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 들은 신앙선교운동, 성경학교운동, 자발적 학생운동이었다. 이 세 운동은 19세기의 후반부에 태동되었으나 1900년대에 이르기까지는 열매를 맺지 못하였다. 이 세 운동은 모두 전적으로 북아메리카의 시대적 상황에서 출현하였다. 신앙선교운동과 성경학교운동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고 자발적 학생운동은 1930년대에 막을 내렸다. 신앙선교운동(Faith Mission Movement); 신앙선교는 ‘확실한 지원처’(Captive constituency)를 갖지 않고 그들의 필요의 공급을 위해 오로지 ..

선교학 강의록 2023.07.21

선교학 강의록(14) : 19세기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확장(교수-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4) : 19세기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확장(교수-주태근) 19세기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확장 케네스 스콧트 라토렛은 그의 7권으로 된 기념비적인 저서 『기독교 선교사』(History of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가운데서 3권의 책을 그가 '위대한 세기'라고 불렀던 19세기에 할애하고 있다. 일찍이 기독교회사의 그 어느 때에도 이때처럼 협조적이고 조직적이며 초인적인 노력을 기울여 세상 끝까지 복음을 전파하려던 때는 없었다. 십자가와 국기; 남아메리카에서는 스페인의 식민지제도가 1810~1824년 사이에 붕괴되었다. 그러나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중동 등 세계의 여러 다른 지역들에서는 선교활동이 유럽 세력의 급속한 팽창과 때를 같이하고 있었다. 외교관,..

선교학 강의록 2023.06.22

선교학 강의록(13) : 영국과 미국에서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시작: A.D. 1750-1850(글-주태근)

영국과 미국에서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시작: A.D. 1750-1850 글-주태근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근대 선교의 아버지’는 윌리암 케리(William Carey)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대선교의 ‘위대한 세기’의 시작을 위해 공헌하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는데 첫째로 유럽의 식민활동으로 대로가 건설되었으며, 증기기관의 발명은 바다여행을 좀 더 빠르고 안전하게 해주었다. 둘째로 종교적인 영향으로 독일에서의 경건주의 운동과 영국과 미국에서의 부흥운동으로 영국 내에서 선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1719년 아이작 왓츠는 ‘햇빛을 받는 곳마다’라는 선교 찬송가을 작시하였고, 이교도 선교를 위한 중보기도의 중요성의 발견과 20년 후 기도단체들이 전 영국에 세워졌다. 이 기도회는 1746..

선교학 강의록 2023.06.12

선교학 강의록(12) : 유럽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시작(글-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2) : 유럽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시작(글-주태근) 5. 유럽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의 시작: A.D. 1600-1800 혹자는 종교개혁의 영적능력이 유럽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부추겨 1500년 이후 시작된 탐험과 식민 활동 기간 중에 복음을 세상 끝까지 전하는 힘이 되었으리라고 기대할 수 있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이 시기 로마 카톨릭 교회는 유럽에서 프로테스탄트에 빼앗긴 인원보다 더 많은 개종자를 얻었다. 그 요인은 무엇인가? 첫째,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종교개혁자들의 신학 때문이었다. 그들은 지상명령이 오직 예수의 열두 사도에게만 주어졌다고 생각하여 사도들이 당시 알려진 복음을 세상 끝까지 전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을 완수했다고 가르쳤다. 만약 후대인들이 복음을 받지 못했..

선교학 강의록 2023.05.31

선교역사: A.D. 600-1700-교수 주태근

선교학강의록(11)-교수 주태근 3. 이슬람교와의 접촉: A.D. 600-1200 빌 두란트(Will Durant)라는 학자는 7세기의 이슬람 세력의 돌발적 출현을 두고 "지중해 세계를 정복하여 절반이나 개종시킨 아라비아 반도의 폭발적 활동은 중세 역사상 가장 특이한 현상이다."라고 말했다. 570년 무함마드 출생; 이슬람교의 창시자인 무함마드는 문맹자였는데, 40세에 자신이 알라신의 사자라고 하는 환상을 본 후 메카에 사는 사람들과 그곳에 모여드는 순례자들을 대상으로 설교하면서 그들에게 새로운 도덕성과 유일사상을 불어넣었다. 632년 이슬람 정복전쟁은 시작되었다. 무함마드의 사후 그의 추종자들은 아랍을 통일하고 질풍노도와 같이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거쳐 715년에는 스페인의 대부분 지역을 정복하였다. 물..

선교학 강의록 2022.10.15

유럽의 기독교-교수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0) : 교수 주태근 2. 유럽의 기독교: A.D. 500-1200 6~8세기, 중세 암흑기에 무자비한 야만족의 침략을 받지 않았던 아일랜드는 영국과 대륙의 학자들을 받아들여 당대의 최고 수준의 교육을 맡겼다. 그리고 선교에 대한 열망은 아일랜드 교회의 특징이었다. 패트릭 때 이후로 교회는 철저히 복음적이었고 선교적이었다. 6세기로부터 7세기에 이르는 동안 그것은 기독교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선교 교회들 중 하나가 되었다. 해박한 성경지식과 성령의 능력을 힘입어 아일랜드의 선교사들은 기독교 유럽을 뒤흔들고자 위협하고 있던 이방종교에 대항하기 위해 놀라운 열정을 쏟아 부었다. 그들은 스코틀랜드의 사나운 피트족, 영국의 야만인이었던 앵글로색슨족, 베네룩스의 프리즐란드족과 같은 이방인들에게 복음..

선교학 강의록 2022.08.18

선교와 역사 : 로마제국의 기독교 - 교수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10) : 교수 주태근 Ⅴ. 선교와 역사 1. 로마제국의 기독교; A.D. 30-500 그리스, 로마, 히브리의 3대 문명은 기독교 역사의 처음 3세기에 형성된 기독교의 틀을 잡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리스 문명은 알렉산더의 정복활동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고 초대교회의 중심지인 안디옥과 알렉산드리아도 이들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헬라어는 서방세계와 동방세계를 아우르는 세계 공통어였기 때문에 이 언어로 번역된 70인역은 초기 기독교 사상의 전파에 큰 동력이 되었다. 알렉산더 사후 제국이 네 개로 나뉘어지고 그리스 문명도 쇠퇴하게 되자 로마 문명이 등장하게 되었다. 로마는 스페인에서 유프라테스 강까지, 북해로부터 사하라 사막까지를 통치하는 대제국이었고 인구는 1억에 달하는 대제국이었다. 로..

선교학 강의록 2022.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