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갱신론 강의록 5

교회갱신론 강의록(5) : 교회정치학의 본질과 의의-교수 주태근

교회갱신론 강의록(5) : 교수 - 주태근 6. 교회정치학의 본질과 의의 정치라는 말은 “정부의 정책결정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사건 또는 사태”를 말하며 또는 “권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협동 또는 적대관계 등의 활동을 토대로 한 사회적 과정으로서, 궁극적으로 한 사회를 위한 정책 결정을 포함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교회정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교회정치학의 본질은 교회의 본질과 같다. 교회라는 말은 정치적 영역(Political sphere)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므로 교회 정치학은 교회의 본질에서 이루어진 교회학(Ecclesioligy)이라 할 수 있다. 교회에 대한 학문은 곧 교회의 바른 조직과 운영을 말한다. 교회의 입법, 사법, 행정 그리고 교회의 헌법만큼 중요한 분야가 없다. 교..

교회갱신론 강의록(4) : 교회에 대한 신학적 이해-교수 주태근

교회갱신론 강의록(4) : 교수 - 주태근 5. 교회에 대한 신학적 이해 교회가 지속적인 제도적 삶을 살기 위해서는, 또한 다른 조직체에 미치는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구조, 관계성, 의사소통, 결과 과정의 체계 확립이 꼭 필요하다. 사회를 변화시키는데 함축성 있고 광범위한 참여를 위해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는 교회가 하나의 제도로서 기독교 신앙의 화육적표현(incanate expression)이 되어야 한다는 가톨릭 신학자들의 이해에서 무언가 배울 점이 있다. 우선 교회는 성령의 교회이다. 혁신적이고 자유롭게 주고받으며 현재와 미래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성령의 교회이다. 혁신적이고 자유롭게 주고받으며 현재와 미래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성령의 교회이다. ..

교회갱신론 강의록(3) : 조직체로서의 교회-교수 주태근

교회갱신론 강의록(3) : 교수 - 주태근 4. 조직체로서의 교회 하나의 조직체로서 교회는 그 자체의 개성, 성격, 풍토를 지니고 있는 실체이다. 그리고 그 조직체의 성격과 풍토는 교인들의 교회생활 태도에 그리고 그들이 교회의 신앙, 삶, 메시지를 실제로 듣고 받아들이고 이해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조직체로서의 교회는 조직체 자체가 가르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교회조직체를 마치 슈퍼마켓에 저장되어 있는 방대한 정보자료로 생각할 수도 있다. 정보의 원천으로서의 교회조직체의 개념은 교회생활에 대해 깊이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인간은 전 조직체로부터 정보자료를 받고 그 조직체의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 태도, 가치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이 자료를 해석하는 것..

교회갱신론 강의록(2) : 교회와 조직-교수 주태근

교회갱신론 강의록(2) : 교수 - 주태근 Ⅱ. 교회와 조직 A. 교회에 대한 이해 1. 명칭에 대한 이해 구약성서에서 「교회」라는 용어는 몇 가지로 사용되었다. 먼저 교회라는 그 말의 어원을 두 가지 용어에서 찾을 수 있다. 구약에서는 히브리말로 「예다」(עֵדָה)와 「카할」(להק)로 사용되었다. 내용은 서로 비슷하나 「카할」이라는 말이 구약에서는 훨씬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 뜻은 「하나님께서 불러 주셔서 그 부르심에 의해서 모인 무리」라는 뜻이다. 이 말이 신약시대에 와서는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로 역술되었고, 「70인 역」에도 그렇게 썼다. 그런데 신약에 와서 「에클레시아」라는 말을 쓸 때에는 구약에서 사용된 「카알」과 그 의미가 다른 면으로 강조되었다. 즉 하나님께서 이 인류역사에 ..

교회갱신론 강의록(1)-교수 주태근

교회 갱신론 강의록(1) : 교수 - 주태근 Ⅰ. 서론 한국교회는 경건주의적 개인주의가 교회의 본질을 형성시켜 왔으며 교역자의 개인적 재능과 장점이 교회성장의 열쇠가 되어 왔을까? 하는 신학적 질문은 심각한 한국교회 갱신을 위한 반성이라고 생각된다. 교인들 역시 개인주의적 교회인(church man)으로서 그 형태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날 한국교회는 진정한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가 되기 위한 충분한 노력을 경주했으나 참 교회로서의 자세를 잃어버리면서 그 조직이 형성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너무나 교파주의(denominationalism)에 치우친 나머지 선교에 저해요인을 자라게 하였다고 판단된다. 또한 너무나 교회중심(church-centeredness)으로 흘러 왔기에 개교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