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 강의록 4

총체적인 선교 개념의 등장-교수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5) : 교수 - 주태근 7. 총체적인 선교 개념의 등장 세계교회협의회 산하의 레슬리 뉴비긴이나 비써트 후프트 그리고 칼 하텐스타인 등은 전통적인 교회설립을 중시한 선교를 부인하지 않았고, 이것을 선교의 중요한 목표로 여겼다. 이들은 하나님의 선교학 사상을 가진 호켄다이크나 에밀리오 카스트로 그리고 사마르타 등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이들의 입장은 인도의 마드라스 대회에서 확대 전도 개념을 발표한 존 모트의 입장과 거의 동일하다. 1975년 영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인 존 스토트는 『현대 세계 속에서의 기독교 선교』 (Christian Mission in the Modern World)라는 그의 책에서 전통적인 선교 개념으로서의 선교 ‘Missions’와 세계교회협의회의 온건한 복음주의..

선교학 강의록 2022.07.25

전통적인 선교 개념에 대한 도전-교수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4) : 교수 주태근 6. 전통적인 선교 개념에 대한 도전 교회역사를 통해볼 때 선교의 주된 강조점은 교회설립이었다. 초기교부시대의 문서로서 『디다케』는 교회의 세례와 성찬예식에 관한 지침을 내리면서 순회 전도자에 대해서 언급하며 어떻게 저들을 분별하고 영접할 것인지를 가르치고 있다. 1세기 말에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고린도에 있는 교인들에게 편지하면서 저들의 착한 행실과 인내함으로 복음의 빛을 모든 사람들에게 비춰서 많은 사람들을 주께 돌아오게 해야 된다고 말하면서 교회 공동체의 중요성을 반복해서 언급한다. 3세기의 역사학자로서 교부시대의 교회역사를 추적한 최초의 교회역사학자라고 할 수 있는 유세비우스는 순회전도자들의 활동을 통해서 로마 제국 산하의 모든 지역에 복음이 전파되고 그 결..

선교학 강의록 2022.07.23

선교에 대한 이해(2)-교수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3) : 교수 - 주태근 4. 전도(Evangelism)와 선교(Mission)의 차이 선교와 전도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그것은 지리적인 측면과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측면이다. 먼저 지리적인 측면에서 데이비드 보쉬는 서구 교회 역사에 있어서 선교와 전도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서구 교회는 20세기 초엽까지만 하더라도 선교의 의미를 서구 지역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복음을 전하는 일이요, 전도는 서구 교회 내의 명목 신자나 이웃 불신자들에 대한 복음 증거의 운동으로 해석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구분이 1928년 예루살렘 국제선교협의회대회에서 미국측 대표로 참석했던 루푸스 존스에 의해서 의문시되었고, 그는 서구의 세속주의를 일종의 인본주의적 종교..

선교학 강의록 2022.07.22

선교에 대한 이해-교수 주태근

선교학 강의록(2) : 교수 - 주태근 Ⅱ. 선교에 대한 이해 선교의 고전적 어의는 타문화권 전도였다. 그러나 오늘날 '선교'란 그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포괄적이며 애매한 용어가 되어버렸다. 그래서 오늘날 선교는 '선교' 자체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선교에 관한 문제가 실제의 선교사역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무엇이 선교인가 하는 선교의 개념 정립에 논쟁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는 말이다. 선교란 무엇이가에 대한 분명하고 단순한 해답이 가능했던 시기는 이미 지나가 버린 것 같다. 오늘날 신학자들이나 교회 지도자들은 자신들은 자신들의 신학적 배경에 따라 나름대로의 선교개념을 가지고 선교를 말하고 있다. 선교에 대한 옛날의 정의를 고수하는 입장을 취하는 자들이 있는가 하면, 현대의 포괄적인 선교 개념을 옹..

선교학 강의록 20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