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의 다양성 2

설교의 다양성(2)-교수 주태근

설교학 강의록(3) : 교수 - 주태근 2) 설교의 전개형태 종교개혁의 샛별들이었던 타울러나 위클리프와 같은 설교자들이 등장하였던 시기인 1322년, 지금도 미지의 인물로 알려진 베이스본의 로베르토(Robertof Basevorn)에 의해 최초로 『설교의 형식』이 출판되었다. 이 책은 1230년경 파리대학에서 있었던 설교의 전개형태에 대한 기록들을 참고 하여 설교의 구성형식을 다루었다. 이 책은 설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설교의 형식을 연구하는데 원조의 자리를 잡고 있다. 이 책에서는 설교의 전개 방식은 주제를 세 가지의 주안점(대지)을 설정하고 진행함이 유익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유는 “삼위일체의 관점에서 메시지를 조명할 수 있으며 세 겹으로 된 줄이 가장 끊기 어렵다..

설교학 강의록 2022.07.22

설교신학의 기초 / 설교의 다양성-교수 주태근

설교학 강의록(2) : 교수 - 주태근 3. 설교신학의 기초 신학은 교회의 복음선포 사역에 봉사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칼 바르트(Karl barth)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설교는 오류가 많은 인간의 일이기에 신학이 필요하다. … 신학은 설교가 진리와 순수함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짐으로 설교를 섬기고 있다. 신학은 설교의 ‘케리그마’가 정통성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바르트는 신학의 책임은 교회의 복음선포 사역을 성찰하고 비평적으로 논평하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즉 신학은 교회의 설교가 성서의 증언에 신실한가를 검토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죤 스토트(John R. W. Stott)는『현대교회와 설교』(The Art of Preaching in the Twentieth Century ..

설교학 강의록 20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