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론 강의록

교회의 성격-교수 주태근

주 바나바 2022. 8. 3. 20:52

교회론 강의록(8) : 교수 주태근

 

4. 교회의 성격

 

1) 전투하는 교회와 승리의 교회(A militant church and a triumphant church)

 

현세의 교회는 거룩한 싸움을 싸우도록 부름을 받았으며 실제로 이 싸움에 참여하는 전투하는 교회이다. 교회는 교회 내에서와 교회 밖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적대 세력들과 흑암의 영적인 권세에 대항하여 부단히 전투를 수행하여야 한다. 지상교회가 전투하는 교회라면 천상의 교회는 승리의 교회이다.

 

 

2) 유형 교회와 무형 교회(A visible church and invisible church)

 

유형교회와 무형교회를 최초로 구분한 사람은 루터인데, 다른 개혁자들도 루터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 두 교회는 두 개의 다른 교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가 가지는 다른 두 양상을 지칭하는 것이다. 개혁파 신학은 지상의 교회가 유형적이며 무형적이라는 사실을 함께 강조하였다. 성서는 어떤 영광스러운 속성들을 교회에 부여함으로써 교회를 구속의 영원한 복을 전달하는 중개자로 나타낸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이런 복의 분배권을 외적인 기관으로서의 교회, 대표적 교회(ecclesia representativa) 즉 성직자 계급에 부여하면서, 하나님과 그의 자녀들 사이에 중재자로서 사제직을 설정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직접적인 교통이 무시되거나 거부되었다. 이 오류에 대해 종교 개혁자들은 영광스러운 것들을 분배하는 교회는 외적인 기관으로서의 교회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신령한 몸으로서의 교회라고 하였고 이 교회는 본질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유형 교회 안에 불완전한 모습으로 구형되어 있으며, 마지막 때가 되면 완전히 눈에 보이도록 구현된다고 하였다. 무형 교회는 자연히 그리고 필연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외적인 기관으로서 유형적 형체를 취하게 마련이다. 교회는 고백과 행위, 말씀의 선포와 성례의 시행, 그리고 외적인 기관과 정체를 통하여 가시화 되는 것이다.

 

 

3) 유기체로서의 교회와 조직체(제도)로서의 교회(The church as an organism and The church as an institution)

 

이 두 교회는 하나의 유형 교회의 두 다른 면으로서 유기체로서의 교회는 성령의 끈으로 연합된 신자들의 공동체인 반면, 조직체로서의 교회는 신자들의 어머니로서 구원의 방편이요, 죄인들을 개종시키고 성도들을 완전케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유기체로서의 교회는 영적 능력이 있는 교회로서 그 안에서 모든 유형의 은사들과 재능들이 나타나고 주님의 사업을 위하여 사용된다. 조직체로서의 교회는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직분들과 방편들을 통하여 제도적 형식과 기능들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