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학 강의록 4

예배의 본질적 이해-교수 주태근

예배학 강의록(6) : 교수 - 주태근 Ⅱ. 예배의 본질적 이해 A. 예배의 정의 교회는 예배하는 공동체(worshiping community)로서 그 첫째 되는 사명은 하나님께 정성을 다해 예배드리는 일이다. 예배가 살아있을 때 교회 역시 살아있게 되고, 예배가 생명력을 잃고 타락할 때 교회 또한 타락할 수밖에 없다. 이는 중세 교회와 종교 개혁의 역사가 잘 증명하여 주고 있다. 중세 교회가 타락한 원인은 물론 여러 가지 신학 문제나 교회의 구조 문제들을 들 수 있겠지만, 가장 요한 것은 중세 교회 예배 현장의 타락이었다. 그러므로 종교 개혁가들의 개혁은 예배현장의 개혁을 필연으로 동반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첫째가 예배에서 잃어버린 말씀을 회복하는 일이었다. 그 외에도 구약 시대의 예레미야나 에스겔과..

예배학 강의록 2022.08.04

중세교회의 예배-교수 주태근

예배학 강의록(3) : 교수 주태근 D. 중세교회의 예배 기독교 역사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온 것은 로마의 콘슨탄틴 대제가 313년 기독교를 공인한 일이었다. 콘슨탄틴 대제는 기독교인들의 일요일을 법적으로 성스러운 날로 지정하였고, 새로운 교회를 만들었으며 이교도의 재산을 이용해서 교회를 만들도록 하였다. 그의 관심은 너무 커서 기독교를 능동적으로 관장하기까지 이르렀으며 그리하여 기독교는 383년 결국 로마의 국교가 되었다. 그리하여 지금껏 개인 혹은 가정이나 동굴들을 찾아 이십 명 또는 삼십 명씩 분산되어 소집단으로 모이던 무리들이 한 곳에 집결되게 되었고 이들의 수용을 위해서 대형화된 교회의 건물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다수의 무리들이 모여서 드리는 예배의 집전을 위하여 성직자의 위치와 권위가..

예배학 강의록 2022.07.23

신약시대의 예배-교수 주태근

예배학 강의록(2) : 교수 - 주태근 B. 신약시대의 예배 구약시대의 예배가 하나님이 임재해 계신 것으로 믿었던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하는 예배였다면 신약시대의 예배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인해 그리스도의 구속의 역사를 중심으로 하는 예배에로의 변화라고 말할 수 있다. 1. 예수시대의 예배 기독교 예배의 시작은 하나님의 말씀이 나사렛 예수를 통해 나타났다고 믿고, 또 유대민족의 대망하던 바가 이제 다 이루어졌다고 믿었던 일개 소집단의 경건파 유대인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예수님 당시의 예배는 회당에서 거행됨과 동시에 성전에서도 거행되었는데, 유대인이었던 초대교인들은 전혀 새로운 예배를 창시하지 않았고, 예수님 자신도 형식의 예배를 만들지 않으셨으며 그의 제자들과 함께 성전과 회당에서 예배하였..

예배학 강의록 2022.07.22

예배의 역사적 배경-교수 주태근

예배학 강의록(1) : 교수 - 주태근 Ⅰ. 예배의 역사적 배경 A. 구약시대의 예배 하나님께서 한 특별한 백성에게 자기를 계시하신 사건과 하나님께서 자기를 섬기도록 하기 위해서 그들을 선택하신 사실이 이방 종교와 이스라엘 백성과의 예배의 차이점이다. 즉 이교도들은 신들의 총애를 얻기 위해서 무엇인가를 해보자는 생각에서 그들 스스로 숭배하는 행위를 창시했으나 하나님의 백성들의 예배는 이미 하나님이 그들을 위하여 준비해 놓은 것에 대한 응답이었다. 구약시대를 대부분의 학자들은 족장시대, 율법시대, 포로시대로 구분한다. 1. 족장시대의 예배 족장시대의 예배는 주로 하나님께서 족장과 그 가정에 대해서 언약을 세운 개인제단과 가정제단이 있다. 그리고 이 족장들의 제사에는 제사장들의 성직제도는 없었고 그들은 제사..

예배학 강의록 2022.07.21